고성 이씨 항렬표(돌림자), 시조, 역사
고성 이씨, 또는 철성 이씨는 경상남도 고성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입니다. 시조는 이황(李璜)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려 덕종 때의 밀직부사였습니다. 고성 이씨는 유구한 역사와 다양한 인물을 배출한 가문으로, 집성촌과 문화재를 통해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고성 이씨의 기원, 역사, 주요 항렬자와 분파, 그리고 현대적 의미를 심도 있게 다뤄보겠습니다.
고성 이씨의 기원과 시조
고성 이씨는 중국 전한 문제 때 중서사인이었던 이반(李槃)이 그 기원으로 전해집니다. 이반은 춘추전국시대 노자(老子)의 후손으로, 노자의 본명은 이이(李耳)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노자는 오얏나무 밑에서 태어나 성을 ‘이(李)’로 정했다고 합니다.
한반도에 정착한 계기는 기원전 109년, 한 무제가 조선을 침략할 당시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반의 후손이 도호원수로 임명되어 한반도로 오게 되었고, 그 후 후손들이 눌러 살며 이황(李璜)을 시조로 하는 고성 이씨 가문이 형성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이황은 고려 덕종 2년(1033)에 거란군과의 전투에서 공적을 세워 밀직부사가 되었으며, 이후 철령군(鐵嶺君)으로 봉해졌습니다. 철령은 고성의 별칭으로, 이황이 관향으로 삼으면서 고성 이씨의 뿌리가 확립되었습니다.
역사적 전개와 주요 문화재
고성 이씨는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습니다. 특히, 임청각과 소호헌은 고성 이씨 가문이 남긴 중요한 문화재입니다.
임청각(臨淸閣)
임청각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고성 이씨의 대표적인 고택으로, 보물 182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조선 중기 사대부의 반가로 지어진 임청각은 99칸 규모로, 현존하는 민가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독립운동가 석주 이상룡의 생가로도 유명하며, 현재는 국가에 헌납되어 보존되고 있습니다.
소호헌(蘇湖軒)
소호헌은 조선 중기의 별당 건축으로, 안동 법흥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명(李洺)이 아들 이고를 위해 지어준 건축물로, 고성 이씨의 전통적인 생활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주요 분파와 항렬자
고성 이씨는 대종회를 통해 다양한 분파로 나뉘어 있으며, 각 파마다 고유의 항렬자를 사용합니다. 아래는 주요 분파와 항렬자의 세부 정보입니다.
안정공파, 병사공파, 사암공파
- 『고성 이씨 사암공파보』 (1999) 114쪽에 실려 있다.
- 『고성 이씨 세보』에 따르면 안정공파와 병사공파의 항렬자는 사암공파와 일치하므로, 하나의 문단으로 묶었다.
세 | 24 | 25 | 26 | 27 | 28 |
항렬자 | 불명 | ◯수(壽) | 선(善)◯ | ◯연(淵) | 종(種)◯ |
세 | 29 | 30 | 31 | 32 | 33 |
항렬자 | ◯렬(烈) | 기(基)◯ | ◯흠(欽) | 영(永)◯ | ◯식(植) |
세 | 34 | 35 | 36 | 37 | 38 |
항렬자 | 병(炳)◯ | ◯규(圭) | 진(鎭)◯ | ◯준(準) | 동(東)◯ |
세 | 39 | 40 | 41 | 42 | 43 |
항렬자 | ◯찬(燦) | 재(在)◯ | ◯용(鏞) | 낙(洛)◯ | ◯영(榮) |
세 | 44 | 45 | 46 | 47 | 48 |
항렬자 | 현(炫)◯ | ◯균(均) | 철(鐵)◯ | ◯우(雨) | 정(楨)◯ |
둔재공파
세 | 24 | 25 | 26 | 27 | 28 |
항렬자 | 불명 | ||||
세 | 29 | 30 | 31 | 32 | 33 |
항렬자 | 불명 | 종(鍾)◯ 석(錫)◯ | ◯수(洙) ◯호(浩) | 근(根)◯ 상(相)◯ 동(棟)◯ | |
세 | 34 | 35 | 36 | 37 | 38 |
항렬자 | ◯현(炫) ◯섭(燮) | 기(基)◯ 증(增)◯ | ◯호(鎬) ◯현(鉉) | 순(淳)◯ 홍(洪)◯ | ◯모(模) ◯권(權) ◯병(柄) |
세 | 39 | 40 | 41 | 42 | 43 |
항렬자 | 환(煥)◯ 병(炳)◯ | ◯배(培) ◯재(在) | 녹(錄)◯ 용(鎔)◯ 진(鎭) | ◯택(澤) ◯원(源) | 식(植)◯ 영(榮)◯ 환(桓)◯ |
세 | 44 | 45 | 46 | 47 | 48 |
항렬자 | ◯훈(勳) ◯희(熙) | 곤(坤)◯ 준(埈)◯ | 미정 |
호군공파
세 | 24 | 25 | 26 | 27 | 28 |
항렬자 | 혁(爀)◯ 시(時)◯ | 재(栽)◯ 언(彦)◯ | 현(鉉)◯ | ◯원(原) | 동(東)◯ |
세 | 29 | 30 | 31 | 32 | 33 |
항렬자 | ◯렬(烈) | 기(基)◯ | ◯호(鎬) ◯흠(欽) | 영(永)◯ 영(泳)◯ | ◯근(根) ◯환(桓) |
세 | 34 | 35 | 36 | 37 | 38 |
항렬자 | 경(炅)◯ 형(炯)◯ | ◯규(圭) ◯균(均) | 종(鍾)◯ 강(鋼)◯ | ◯구(求) ◯수(洙) | 주(柱)◯ 영(榮)◯ |
세 | 39 | 40 | 41 | 42 | 43 |
항렬자 | ◯휴(烋) ◯희(熙) | 경(坰)◯ 재(在)◯ | 미정 |
좌윤공파
세 | 24 | 25 | 26 | 27 | 28 |
항렬자 | 불명 | ||||
세 | 29 | 30 | 31 | 32 | 33 |
항렬자 | 불명 | 병(柄)◯ 형(衡)◯ | ◯재(在) ◯중(重) | 호(鎬)◯ 진(鎭)◯ | |
세 | 34 | 35 | 36 | 37 | 38 |
항렬자 | ◯해(海) ◯하(河) | 상(相)◯ 영(榮)◯ | ◯돈(燉) ◯환(煥) | 은(垠)◯ 규(奎)◯ | ◯수(銖) ◯흠(欽) |
세 | 39 | 40 | 41 | 42 | 43 |
항렬자 | 한(漢)◯ 영(泳)◯ | ◯병(秉) ◯식(植) | 미정 |
동추공파
세 | 24 | 25 | 26 | 27 | 28 |
항렬자 | 불명 | ||||
세 | 29 | 30 | 31 | 32 | 33 |
항렬자 | 불명 | ◯식(植) | 희(熙)◯ 병(炳)◯ | ◯기(基) ◯재(在) ◯곤(坤) | |
세 | 34 | 35 | 36 | 37 | 38 |
항렬자 | 진(鎭)◯ 은(銀)◯ 용(鏞)◯ | ◯영(永) ◯구(求) ◯홍(洪) | 근(根)◯ 영(榮)◯ 정(楨)◯ | ◯환(煥) ◯형(炯) ◯섭(燮) | 규(圭)◯ 원(垣)◯ 준(埈)◯ |
세 | 39 | 40 | 41 | 42 | 43 |
항렬자 | ◯호(鎬) ◯탁(鐸) ◯용(鎔) | 태(泰)◯ 원(源)◯ 문(汶)◯ | ◯표(杓) ◯왕(枉) ◯수(秀) | 용(容)◯ 연(然)◯ 현(炫)◯ | ◯균(均) ◯배(培) ◯교(敎) |
세 | 44 | 45 | 46 | 47 | 48 |
항렬자 | 선(銑)◯ 현(鉉)◯ 종(鍾)◯ | ◯수(洙) ◯한(漢) ◯철(澈) | 미정 |
참판공파
세 | 24 | 25 | 26 | 27 | 28 |
항렬자 | 주(周)◯ ◯묵(默) | ◯선(善) | 정(庭)◯ | ◯기(基) | 종(鍾)◯ |
세 | 29 | 30 | 31 | 32 | 33 |
항렬자 | 승(承)◯ | ◯희(羲) 동(東)◯ | 형(衡)◯ 병(炳)◯ 열(烈)◯ 홍(烘)◯ 영(煐)◯ 광(炚)◯ | ◯재(載) ◯중(重) ◯규(圭) ◯배(培) ◯균(均) | 호(鎬)◯ 진(鎭)◯ 석(錫)◯ 용(鎔)◯ 박(鉑)◯ 주(鉒)◯ |
세 | 34 | 35 | 36 | 37 | 38 |
항렬자 | ◯해(海) ◯하(河) ◯옥(沃) ◯유(洧) ◯홍(洪) ◯숙(淑) | 상(相)◯ 영(榮)◯ 계(桂)◯ 정(楨)◯ 백(栢)◯ 창(椙)◯ | ◯현(炫) ◯환(煥) ◯황(煌) ◯희(熙) ◯정(炡) ◯훈(熏) | 은(垠)◯ 준(埈)◯ 지(址)◯ 보(堡)◯ 제(堤)◯ | ◯수(銖) ◯흠(欽) ◯공(釭) ◯륜(錀) ◯련(鍊) |
세 | 39 | 40 | 41 | 42 | 43 |
항렬자 | 순(淳)◯ 태(泰)◯ 명(洺)◯ 호(浩)◯ 연(演)◯ 유(洧)◯ | ◯모(模) ◯식(植) ◯두(杜) ◯군(桾) ◯표(標) ◯강(杠) | 미정 |
도촌공파
세 | 24 | 25 | 26 | 27 | 28 | |
항렬자 | 선(宣)◯ ◯춘(春) | ◯증(曾) 득(得)◯ | 하(夏)◯ ◯도(道) | ◯인(寅) 행(行)◯ | 종(種)◯ | |
세 | 29 | 30 | 31 | 32 | 33 | |
항렬자 | ◯렬(烈) | 기(基)◯ | ◯호(鎬) ◯흠(欽) | 한(漢)◯ 순(淳)◯ | ◯정(楨) ◯모(模) ◯식(植) | |
세 | 34 | 35 | 36 | 37 | 38 | |
항렬자 | 현(炫)◯ 희(熙)◯ 병(炳)◯ | ◯곤(坤) ◯재(在) ◯규(圭) | 은(銀)◯ 용(鎔)◯ 진(鎭)◯ | ◯구(求) ◯영(永) ◯홍(洪) | 정(楨)◯ 근(根)◯ 영(榮)◯ | |
세 | 39 | 40 | 41 | 42 | 43 | |
항렬자 | ◯환(煥) ◯형(炯) ◯섭(燮) | 주(周)◯ 원(垣)◯ 준(埈)◯ | ◯석(錫) ◯탁(鐸) ◯용(鎔) | 태(泰)◯ 원(源)◯ 문(汶)◯ | ◯수(秀) ◯주(柱) ◯표(杓) | |
세 | 44 | 45 | 46 | 47 | 48 | |
항렬자 | 용(容)◯ 연(然)◯ 희(熹)◯ | ◯교(敎) ◯배(培) ◯균(均) | 미정 |
은암공파
- 2020년 3월 9일, 파종회에서 음양오행과 작명법의 길흉을 따져 36세부터 60세까지의 항렬자를 새로 제정
세 | 24 | 25 | 26 | 27 | 28 |
항렬자 | ◯록(祿) | 현(賢)◯ | 운(雲)◯ | ◯모(模) | 태(泰)◯ |
세 | 29 | 30 | 31 | 32 | 33 |
항렬자 | ◯기(基) | 종(鍾)◯ | ◯영(永) | 상(相)◯ | ◯휴(烋) |
세 | 34 | 35 | 36 | 37 | 38 |
항렬자 | 재(在)◯ | ◯현(鉉) | 하(河)◯ | ◯율(栗) | 형(炯)◯ |
세 | 39 | 40 | 41 | 42 | 43 |
항렬자 | ◯규(圭) | 은(銀)◯ | ◯수(洙) | 서(棲)◯ | ◯엽(燁) |
세 | 44 | 45 | 46 | 47 | 48 |
항렬자 | 준(埈)◯ | ◯호(鎬) | 홍(泓)◯ | ◯환(桓) | 경(炅)◯ |
이외에도 좌윤공파, 동추공파, 참판공파 등 다양한 분파가 있으며, 각 분파마다 항렬자의 위치와 의미가 달라 고성 이씨 가문의 다양성을 보여줍니다.
왕실과의 관계
고성 이씨는 고려와 조선 왕실과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고려 왕실
- 도촌공파의 이림(李琳)의 셋째 딸이 근비(謹妃)로 책봉되었습니다.
조선 왕실
- 혜순궁주(惠順宮主) 이씨는 태종이 왕위를 물러난 후 들인 후궁으로, 족보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주요 인물
고성 이씨는 역사적으로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습니다. 그중에서도 고려와 조선 시대의 문신들과 독립운동가 석주 이상룡, 현대의 정치인, 공무원, 그리고 배우 이서진 등이 대표적입니다.
결론
고성 이씨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성씨로,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시조 이황으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고성 이씨는 다양한 인물을 배출하며 가문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들의 항렬자와 분파, 문화재는 고성 이씨의 역사적 가치를 증명하며, 앞으로도 그 전통을 이어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