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을 업데이트하거나 새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한 뒤, 갑자기 C드라이브의 남은 용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경험을 하신 적이 있을 겁니다. 이는 대부분의 경우 windows.old
폴더 때문입니다.
이 폴더는 이전 버전의 윈도우 시스템 파일, 사용자 설정, 앱 데이터를 임시로 보관하는 백업 폴더로, 새 버전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되돌릴 수 있도록 만들어집니다.
일반적으로 윈도우는 자동으로 약 10일 뒤에 이 폴더를 삭제하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삭제하지 않는 이상 그동안은 수십 GB의 용량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SSD를 사용하는 노트북이라면 이 폴더 하나로도 디스크가 꽉 차버리는 경우가 흔합니다.
따라서 시스템 안정성이 확인되었다면 windows.old
폴더를 안전하게 삭제하여 C드라이브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windows.old
폴더는 윈도우 업데이트나 업그레이드 시, 이전 운영체제의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생성됩니다.
이 폴더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 후 문제가 생기면 이 폴더를 이용해 이전 버전의 윈도우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업그레이드 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한다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폴더입니다.
windows.old
폴더를 삭제하면 이전 윈도우로 복원이 불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다음 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windows.old
내 문서, 사진 폴더에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윈도우는 단순히 “삭제” 키를 눌러서는 windows.old
폴더를 제거할 수 없습니다.
시스템 보호 파일로 지정되어 있어 관리자 권한과 특정 절차가 필요합니다.
아래는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삭제 방법입니다.
윈도우에서 가장 공식적이며 안전한 방법입니다.
잠시 기다리면 windows.old
폴더가 삭제되고 수십 GB의 용량이 복구됩니다.
윈도우 11에서는 설정 앱의 저장소 관리 기능으로도 손쉽게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초보자에게 가장 권장됩니다.
GUI 기반이므로 명령어 입력이 필요 없고, 실수로 다른 파일을 삭제할 위험이 없습니다.
디스크 정리로도 삭제가 되지 않거나 접근 권한 오류가 발생할 경우 명령어 방식을 사용합니다.
takeown /F C:\Windows.old /A /R
icacls C:\Windows.old /grant administrators:F /T
rmdir /S /Q C:\Windows.old
이 명령어는 폴더의 소유권을 관리자에게 넘긴 뒤 강제 삭제합니다.
삭제가 완료되면 콘솔 창이 조용히 종료됩니다.
이후 C드라이브의 용량을 확인해보세요. 즉시 확보된 용량이 눈에 띌 것입니다.
CMD와 유사하지만 PowerShell 환경에서 명령을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Remove-Item -Path "C:\Windows.old" -Recurse -Force
PowerShell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하며, 이 명령어는 하위 폴더를 모두 포함해 강제로 삭제합니다.
업데이트가 잦은 사용자는 매번 수동으로 삭제하는 대신, 자동화 스크립트를 만들어둘 수 있습니다.
cleanmgr /sagerun:1
cleanup.bat
으로 저장하고 바탕화면에 둡니다.가끔 위의 방법으로도 삭제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로 다음 원인 때문입니다.
이럴 때는 아래 절차를 시도해보세요.
chkdsk C: /f
매번 수동으로 정리하는 것이 번거롭다면 자동 정리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windows.old
폴더가 자동으로 제거됩니다.특히 SSD나 NVMe 저장장치처럼 용량이 작은 환경에서는 이 설정이 매우 유용합니다.
windows.old
외에도 C드라이브 공간을 차지하는 요소는 다양합니다.
아래 추가 정리 방법을 함께 활용해보세요.
%temp%
명령어)C:\Windows\SoftwareDistribution\Download
)이 과정을 병행하면 최대 50~80GB까지 용량 확보도 가능합니다.
windows.old
폴더는 윈도우 업데이트 후 시스템 복원을 위한 안전장치이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불필요한 공간 낭비의 원인이 됩니다.
업데이트가 안정적으로 완료되었다면 디스크 정리 또는 설정 앱을 통해 안전하게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C드라이브 용량이 부족할수록 시스템 성능 저하가 발생하므로,
정기적인 정리와 자동화 설정을 통해 항상 20% 이상의 여유 공간을 확보해두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공안직 공무원 봉급표 2025 철도경찰직 출입국관리직 마약수사직 검찰 교정직 공무원 월급 공안직 공무원의 의미와 역할 공안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