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K 금시세 1돈가격은?
오늘의 금시세 개요
금은 세계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자산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 인플레이션, 경기침체, 환율 변동 등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금의 가치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금을 ‘1돈(3.75g)’ 단위로 거래하며, 실물 투자뿐만 아니라 예물, 골드바, 금통장 등의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2025년 11월 11일 기준 국내 오늘의 금시세는 전일 대비 상승세를 보이며 다시금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순금(24K) 금시세 1돈가격은 80만 원대를 회복하며, 국내외 금 시장이 동시에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11월 11일 기준 국내 금시세
한국표준금거래소와 신한은행, 한국거래소(KRX) 금시장 기준으로 발표된 금시세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24K 금시세 순금 한돈(3.75g) 살 때: 약 837,000원 (VAT 포함)
- 24K 순금 한돈 팔 때 금가격 시세: 약 716,000원 (VAT 포함)
- 18K 금 한돈 팔 때: 약 526,300원 (금반지 1돈 가격)
- 14K 금 한돈 팔 때 금 1돈 시세: 약 408,100원
- 백금 1돈 팔 때: 약 250,000원 / 살 때 316,000원
- 은 1돈 팔 때 오늘 은값시세: 약 7,620원 / 살 때 11,090원
신한은행 기준 1g당 순금 시세는 191,827.45원으로, 한돈(3.75g)을 환산하면 약 719,353원입니다. 이는 전일 대비 3,380.62원(+1.79%) 상승한 수치이며, 국제 금값 또한 온스당 3,998달러에서 4,073달러로 1.876% 상승했습니다.
국내 금시세 상승 요인

금값은 여러 거시경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2025년 11월 현재 상승세를 보이는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달러 약세 및 금리 인하 기대감: 미국 연준의 금리 동결 또는 인하 가능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중동 분쟁,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긴장 등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금을 매수하는 비중이 늘어났습니다.
- 원/달러 환율 상승: 1달러당 1,457원으로 상승하며, 수입금 가격이 원화 기준으로 더 비싸지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 국내 수요 증가: 결혼 예물, 금 매입 투자 수요가 늘어나면서 실물 금 유통이 활발해졌습니다.
국제 금시세와의 연동 관계
국제 금시세는 뉴욕상품거래소(COMEX)와 런던금시장(LBMA)을 중심으로 결정되며, 국내 금시세는 이를 원화로 환산해 반영합니다.현재 국제 금값은 온스당 4,073달러로, 전주 대비 약 75달러 상승했습니다. 미국 국채금리 하락과 달러 인덱스 약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국내 금시세는 이에 비례해 KRX 금시장 거래가격 190,060원/g으로 전일 종가 187,290원 대비 2,770원(+1.48%) 상승했습니다.
최근 한 달간 금시세 변동 추이
2025년 10월 중순부터 11월 11일까지 한 달간 금시세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흐름을 보입니다.
- 10월 15일: 1돈 705,000원
- 10월 25일: 1돈 712,000원
- 10월 31일: 1돈 730,000원
- 11월 5일: 1돈 748,000원
- 11월 11일: 1돈 832,000원(소매 매입 기준)
이는 약 한 달 사이 12만 원가량 상승한 수준으로, 연중 최고치에 근접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금의 투자 가치와 시장 전망
금은 변동성이 낮고 인플레이션 방어 효과가 뛰어나 장기적 자산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2025년 이후 전망에서도 금값은 강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 단기 전망: 1g당 190,000~195,000원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할 가능성이 큽니다.
- 중기 전망: 국제 정세 불안 및 원화 약세 지속 시 1돈당 850,000원 이상까지 상승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장기 전망: 글로벌 금리 인하, 중앙은행 금 매입 확대가 지속되면 온스당 4,200달러 돌파도 예상됩니다.
금시세 관련 용어 정리
- 순금(24K): 금 함량 99.9%로, 금 거래의 기준이 되는 순도입니다.
- 18K: 금 함량 75%, 나머지는 구리·은 등의 합금. 내구성과 색감이 좋아 반지·목걸이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 14K: 금 함량 58.5%,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실생활에서 착용 빈도가 높습니다.
- 한돈: 3.75g(그램)이며,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금 거래 단위입니다.
- 온스(oz): 국제 금 거래 단위로, 1트로이온스는 약 31.1035g입니다.
금시세 확인 방법
국내에서 실시간 금시세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거래소(KRX) 금시장 홈페이지: 실시간 거래 가격, 일별 종가, 거래량 확인 가능.
- 한국표준금거래소 및 금시세닷컴: 소매·매입 기준가 확인 가능.
-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앱: 1g 단위 실시간 금시세 제공.
- 네이버·다음 금융 탭: 국제 금시세(달러), 국내 시세(원) 동시 비교.
금거래 시 유의사항
- 부가세: 실물 금을 구입할 경우 VAT(10%)가 포함되어 있어, 매입 시 표시된 가격보다 실제 지출액이 많아집니다.
- 매매차익 과세: 개인이 금 실물을 사고팔 때는 비과세이나, 금통장 거래 시에는 금융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순도 인증: 24K 순금은 반드시 ‘999.9’ 각인이 명확한 제품을 선택해야 하며, 거래 시 거래소 공인감정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보관 안전성: 금은 실물 자산이므로 분실 위험이 있으며, 은행 금고나 보험 가입을 통해 관리해야 합니다.
금과 은, 백금 시세 비교
- 금(24K): 1돈 837,000원(살 때)
- 백금: 1돈 316,000원(살 때), 250,000원(팔 때)
- 은: 1돈 11,090원(살 때), 7,620원(팔 때)
백금과 은은 금보다 산업 수요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경기 둔화 시 가격 변동 폭이 더 큽니다. 반면 금은 금융 불안정 시 오히려 가격이 오르는 ‘역(逆)상관 자산’으로 작용합니다.
결론
2025년 11월 현재 국내 금시세는 국제 금값 상승과 환율 요인으로 인해 1돈당 83만 원대로 올라섰습니다. 한 달 새 10만 원 이상 상승하면서 투자자와 실수요자 모두에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실물 금 매입 시에는 부가세를 고려해야 하며, 단기 수익보다 장기 보유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국제 금값은 향후 4,100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이 높고, 국내 금값은 환율과 함께 추가 상승 여력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결혼 예물, 자산 분산, 위기대비 투자 수단으로서 금의 입지는 여전히 견고하며, 향후 금리 변화와 달러 흐름에 따라 새로운 고점을 시도할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