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경제

209시간 계산법 vs 226시간 계산법 비교하기

209시간 계산법 vs 226시간 계산법 비교하기

알아두면 유용한 근로시간 산정 기준

209시간 계산법 vs 226시간 계산법 비교하기

우리나라는 주 5일, 1일 8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하는 ‘법정근로시간(주 40시간)’과, 주휴시간·연장근로를 포함한 ‘주 최대 근로시간(주 52시간)’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월 단위로 환산할 때 ‘209시간 계산법’과 ‘226시간 계산법’이 활용되는데, 각각 적용 대상과 산출 방식, 용도가 다르므로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9시간 계산법

  • 정의 및 목적
    • ‘209시간 계산법’은 1주 소정근로시간(주 40시간)과 주휴시간(8시간)을 합산한 48시간을 ‘한 달 평균 주수(4.345주)’로 곱해 산출한 값입니다.
    •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및 최저임금 적용 시 월 환산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 계산 방식
    1. 1일 법정근로시간: 8시간
    2. 1주 법정근로시간: 8시간 × 5일 = 40시간
    3. 주휴수당 포함 주 소정근로시간: 40시간 + 8시간(주휴) = 48시간
    4. 한 달 평균 주수: 365일 ÷ 7일 ÷ 12개월 ≒ 4.345주
    5. 월 환산 근로시간: 48시간 × 4.345주 ≒ 208.56 → 반올림하여 209시간
  • 적용 대상
    • 최저임금법에 따른 월급제 근로자의 최소 임금 보장 기준
    • 통상임금(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연차수당 등) 산정 시 기준시간

226시간 계산법

  • 정의 및 목적
    • ‘226시간 계산법’은 주 최대 근로시간(최대 52시간)을 한 달 평균 주수로 환산한 값으로, 근로기준법의 주 52시간 상한제 도입 이후 월 단위 근로시간 한도와 시급 환산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 계산 방식
    1. 1주 최대 근로시간: 법정근로시간 40시간 + 연장근로 최대 12시간 = 52시간
    2. 한 달 평균 주수: 4.345주
    3. 월 환산 근로시간: 52시간 × 4.345주 ≒ 226시간
  • 적용 대상
    • 주 52시간 근무제 적용 사업장
    • 월급제 근로자의 연장근로 한도를 포함한 시급 환산 기준

실제 시급 계산 시 차이점

  • 예시: 월급 300만원 근로자 A
    • 209시간 기준 시급: 3,000,000원 ÷ 209시간 ≒ 14,354원
    • 226시간 기준 시급: 3,000,000원 ÷ 226시간 ≒ 13,274원
  • 비교
    • 209시간 기준 시급이 높게 산정되어, 동일 월급 기준으로 더 높은 시간급을 확보할 수 있음
    • 226시간 기준을 적용하면 시급은 낮아지지만, 연장근로 가능시간을 포함해 계산하므로 실제 근로시간 증가 시 과소지급 위험을 방지

적용 시 유의사항

  • 주휴수당의 포함 여부
    • 209시간 계산법은 주휴수당을 포함한 소정근로시간을 환산한 것이므로, 주휴일이 정상적으로 부여되는 근로계약에만 적용해야 합니다.
  • 교대제 및 단시간 근로자
    • 교대근무제·단시간 근로자 등 근로시간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실제 주 소정근로시간에 맞춰 개별 산식을 적용해야 하며, 일괄적인 209·226시간 계산법 사용은 부적절합니다.
  • 연장·야간·휴일근로
    • 실제 연장근로가 발생하는 경우,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209시간)과 연장근로 한도(226시간)를 구분하여 적용해야 하며, 연장근로 수당은 별도 시급(통상임금 시급 × 1.5)을 적용해야 합니다.
  • 법 개정 및 행정해석
    • 근로기준법·최저임금법 등의 개정, 고용노동부 행정해석 변경 시 산정 기준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신 법령과 가이드라인을 수시 확인해야 합니다.

결론 및 실무 팁

  • 월급제 근로자의 시급 산정
    • 기본 시급을 높이고 싶다면 209시간 기준을 이해하고,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월 환산 시간을 확인하세요.
  • 연장근로 관리
    • 주 52시간 상한 준수를 위해 226시간 기준을 기반으로 연장근로 시간을 사전에 계획·관리하고, 근로시간관리시스템에 정확히 기록하세요.
  • 최저임금 준수 여부 점검
    • 매년 최저임금 고시 기준에 맞춰 월급 ÷ 209시간 계산 결과가 최저시급 이상인지 확인하여 법 위반을 예방하세요.
  • 근로계약서 작성
    • 월급제 근로계약서에 ‘월 환산 근로시간’, ‘주휴수당 포함 여부’를 명시하고, 시급 산정 기준을 근로자와 명확히 합의하세요.

키워드: 209시간 계산법, 226시간 계산법, 월 환산 근로시간, 최저임금 시급, 통상임금 산정, 주 52시간, 연장근로 한도, 주휴수당 포함, 근로시간 관리, 월급제 시급 계산

bcafe75

Recent Posts

예쁜 한글 순우리말 이름 좋은뜻 짓기

예쁜 한글 순우리말 좋은뜻 이름 짓기 한글은 아름다운 언어입니다. 순우리말로 불리는 한글은 외래어나 한자가 아닌 고유한…

3일 ago

2026년 군인연금 인상률

2026년 군인연금 인상률 2026년 인상 배경 2026년도 군인연금은 전년도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을 반영해…

4일 ago

국가 의전서열 순위, 대한민국 의전서열순위

국가 의전서열 순위, 대한민국 의전서열순위 한국의 국가 의전(儀典)은 단순한 ‘자리 배치’가 아니라, 헌법기관 간 위상·권한을…

6일 ago

2026년 공군·해군·육군 중령 진급 발표일, 대령 진급자 명단 전망

2026년 공군·해군·육군 중령 진급 발표일, 대령 진급자 명단 전망 중령·대령 진급은 단순한 계급 상승이 아닌…

7일 ago

2025년 교육공무원 봉급표 완전 정리

2025년 교육공무원 봉급표 완전 정리 왜 2025년 봉급표가 중요한가 교육공무원 봉급표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현장에서 학생을…

1주 ago

혼인신고 하는 곳 재혼 혼인신고서 양식 작성방법 결혼 가능나이 신고기한

혼인신고 하는 곳 재혼 혼인신고서 양식 작성방법 결혼 가능나이 신고기한 혼인신고는 ‘두 사람의 결혼’이 법적·사회적으로…

1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