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살림에서 인건비는 ‘세금으로 사는’ 공공서비스 품질과 직결됩니다. 현장 공무원들의 사기가 꺾이면 복지·안전·행정 전반의 서비스 수준이 급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인플레이션·민간 대비 임금 격차·저연차 인력 이탈이라는 삼중고를 동시에 겪고 있는 지금,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은 공무원 개인을 넘어 국가 경쟁력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2026년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협상 일정 – 8월 14일 확정 목표
6월 30일: 인사혁신처 산하 공무원보수위원회(이하 보수위) 1차 전체회의 개최. 노조 요구안 청취로 일정 공식 개시.
7월~8월 초: 분야별 소위원회에서 세부 수당·직급별 인상안 조율.
8월 14일: 보수위 최종안 의결 예정. 이후 기획재정부 검토를 거쳐 9월 정부 예산안에 반영, 연말 국회 확정 절차 진행.
노조 요구안 –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전망 기본급 6.6% 인상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전망
요구 배경
100인 이상 민간사업장 대비 공무원 임금 수준 83.9% → 5년 내 100% 달성을 목표로 매년 3.2%p ‘격차 해소분’ 반영.
2026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1.6% + 소비자물가 1.8%를 더해 실질임금 보전을 위한 3.4%p 추가 인상.
결과적으로 기본급 6.6% 인상이 필요하다는 계산.
수당·처우 개선 요구
정액급식비 월 +3만원
6급 이하 직급보조비 월 +3만5천원
시간외근무수당 단가 상향, 교사 직급보조비 신설 등 수당체계 전반 개편 요구
정부 검토안 – 재정 여건과 직급별 차등
정부는 아직 공식 수치를 내놓지 않았지만, 최근 기조로 보아 ‘전 계급 공통 3% 안팎 + 하위직 추가 인상’이 유력합니다.
2025년에 9급 1호봉은 공통 3.0% + 추가 3.6%로 6.6% 인상돼 월봉급 첫 200만원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