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은 천문 애호가에게 가장 바쁜 달입니다. 사분의자리·페르세우스자리·쌍둥이자리로 이어지는 ‘3대 유성우’ 중 두 번째 주인공이 8월 12 일 밤부터 13 일 새벽까지 최고조를 맞이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2025년에는 달이 8월 9 일 만월을 지나 감소하는 기울기(하현) 단계에 있어, 달빛 간섭이 상대적으로 약해 관측 조건이 호재로 평가됩니다.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Perseids)’는 시간당 최대 80~100개의 밝은 별똥별이 북동 하늘을 가로지르며, 도심을 벗어나면 ZHR(zenithal hourly rate) 기준 100개 이상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관측 핵심 시간, 과학적 배경, 촬영 노하우, 추천 명소까지 모두 정리했습니다.
8월 주요 천문 이벤트 한눈에 보기
토성 충(Saturn Opposition)
8월 12~13일: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극대기
8월 18일: 보름달(음력 7월 15일)
8월 27일: 토성 충(Saturn Opposition)
7월 17 일~8월 23 일: 페르세우스 유성우 활동 기간
7월 18 일~8월 12 일: 남쪽 델타사수자리·알파카프리코니드 동시 활동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란?
모체 혜성과 입자 흐름
부모 혜성: 109P/Swift-Tuttle
공전 주기: 133년
지구가 Swift-Tuttle 궤도를 가로지를 때 혜성 잔해(먼지·얼음)가 대기와 마찰하며 발광 → 별똥별
방사점(輻射點)·관측 원리
방사점 위치: 페르세우스자리 η(에타)성 부근
시간대별 고도
21:00 KST: 지평선 부근에 등장
00:00 KST: 고도 40° 이상
03:00 KST: 남동고도 70° 이상 → 최대 빈도
“방사점 고도가 높을수록 ZHR 증가” 법칙 적용
2025년 페르세우스 유성우 관측 조건 분석
2025년 페르세우스 유성우 극대기 예상 시각·달빛 영향
예상 극대: 2025-08-13 05:00 KST(= 2025-08-12 20:00 UTC) (visitlaketahoe.com)
2025년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달빛 간섭이 줄어드는 하현 5일 전후에 극대기를 맞습니다. 8월 12 일 밤 11 시부터 13 일 새벽 4 시 30 분까지가 ‘골든타임’이며, 북동→남동으로 시야를 천천히 옮겨가면 수십 개의 밝은 화구(−2 등급 이하)까지 포착할 확률이 높습니다. 빛공해가 적은 고지대를 찾고, 달빛을 가려 시야를 확보한다면 2025년 여름 최고의 별똥별 쇼를 기록에 남길 수 있을 것입니다. 준비물과 촬영 세팅만 챙기면, 매년 돌아오는 우주 축제 현장 속 주인공은 바로 여러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