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금시세 18K 금값, 24K 금 한돈은 가격
게다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처음으로 금리를 동결하며 “금리 동결이 끝이 아니라, 오히려 시작이 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 여파로 이미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던 국제 금값이 한층 더 주목받게 됐습니다. 실제로 최근 국제 시세가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하는 상황도 감지되었습니다. 국내 금시장도 이에 따라 잔잔한 파도를 타고 있지만, 시시각각 변동성이 커지는 만큼, 궁금해하는 분들이 상당히 많아 보입니다.

그렇다면 오늘의 금시세를 어떻게 확인해야 하고, 18K와 24K(순금) 한 돈 가격은 어느 정도 선에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을까요? 여기에 “금 사려면 부가세도 고려해야 하나요?”와 같은 질문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처럼 금을 사고팔 때 필요한 정보부터, 최근 국제 금값 변동 요인까지 간략히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 하면 떠오르는 ‘블링블링’한 광채만큼이나 흥미로운 변동 요인들을 알아보면서, 오늘의 금값이 어디쯤 서 있는지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국내 금시세 개요
오늘날 국내 금시세는 다양한 경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한은행이나 한국표준금거래소, 한국거래소(KRX) 금시장 등의 고시 가격을 살피면 되죠. 이때 매입가와 매도가(또는 살 때/팔 때의 금값)가 다르니, 어떤 용도로 금을 확인하려고 하는지에 따라 눈여겨봐야 할 지표가 달라집니다.

- 신한은행 기준
최근 신한은행의 고시 기준으로 24K 순금시세는 1g당 약 143,550.98원 전후로 조사되었습니다. 한돈(3.75g)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538,316원 정도가 됩니다. 이는 전일 대비 소폭 상승한 수치인데, 같은 시점에 국제 금시세는 소폭 하락세를 보였다는 재미있는 점이 있었습니다. 원-달러 환율 역시 1,466.10원가량에 머물렀고, 이 환율 변동이 결국 국내 금값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한국표준금거래소 기준
한국표준금거래소에서 공개한 오늘의 금시세에 따르면, 순금 24K 한 돈(3.75g)은 살 때 621,000원(VAT 포함), 팔 때 537,000원(VAT 포함) 정도라고 합니다. 기관마다 수수료나 부가세 정책이 조금씩 다르므로, 실제 거래 가격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8K나 14K 같은 경우는 살 때는 보통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 때는 그 순도(함유 금속 비율)에 따라 18K는 약 394,700원, 14K는 약 306,100원 정도에 매입이 이뤄집니다. - 한국거래소(KRX) 금시장 기준
KRX 금시장에서는 최근 1g당 143,600원선에서 거래되었습니다. 이전 거래일 대비 약 540원이 올라 등락률이 +0.38% 정도 상승한 셈입니다. 국제 금시세가 하락함에도 국내 금시세는 소폭 상승한 모습이 흥미로운데, 이는 환율 영향이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국내 금값은 일차적으로 국제 금값에 연동되고, 추가로 환율·국내 수요·공급량·시장 분위기 등에 의해 최종 시세가 결정됩니다.
금 거래, 어떻게 접근할까?
금 거래는 장기적으로 볼 때 가치가 꾸준히 보전되는 자산입니다. 그런데도 가격 변동 폭이 커질 때는 마음이 급해지기도 합니다. 다음 몇 가지 팁을 참고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 실시간 시세 확인
신한은행, 한국표준금거래소, 한국거래소(KRX) 등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실시간으로 금시세를 고시합니다. 기관별로 발표 기준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평균적인 추세를 파악하는 데 활용하세요. - 투자 목적 vs. 실물 장신구 구입
단순 투자 목적이라면 골드바나 순금 형태로 세금 혜택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장신구는 아름답고 착용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공임비 등 부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 분할매수·분할매도 전략
금값이 폭등할 때 ‘몰빵’으로 사들이거나, 혹은 ‘몰빵’으로 파는 것은 높은 리스크를 동반합니다. 과거 사례에서도 금값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도 장기적으로 우상향해 왔습니다. 조금씩 나눠 매수·매도하는 것이 심리적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가짜 금 조심
시세가 급등할수록 위조품 유통도 조심해야 합니다. 믿을 만한 거래처나 인증된 은행, 금거래소를 이용하세요. KRX 금시장에서 매수한 금은 순도 관리가 철저합니다.

결론
정리하자면, 오늘의 금시세는 국내외 경제 환경,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정책 기조와 환율 변동 등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올 초부터 시작된 금값 상승 흐름이 최근 연준의 금리 동결 소식으로 한층 가팔라졌고, 국제 금값은 온스당 3,000달러를 넘어서는 기록적인 수치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국내에서도 24K 한 돈이 60만 원을 훌쩍 넘는 시세가 자주 관측되고 있으며, 18K나 14K도 그에 따라 귀금속 시장에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금은 ‘오래 묵혀도 녹슬지 않는 자산’으로서 사랑받아 왔습니다만, 시장 변동은 예측 불가능한 부분이 있어 언제든 ‘고점에 물리는’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금을 사거나 팔 때는 여러 기관의 매매 기준가를 미리 알아보고, 보석 형태라면 디자인 비용이 추가된다는 점, 팔 때는 순금 함량만큼만 인정된다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더불어, 부가세와 공임비가 어떻게 책정되는지도 꼼꼼히 살피면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결국 금은 유행 따라 모르는 종목에 투자하는 것보다 변동성이 적고, 중장기적으로 실물가치를 유지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렇다고 늘 안정적이지만은 않습니다. “금값이 오르는 건 누가 봐도 당연하다”는 막연한 믿음보다는, 국제 시세와 환율 변동, 그리고 국내외 경제 이슈 등을 꾸준히 모니터링하며 현명하게 거래하는 습관이 필요하겠죠.
오늘의 금값, 24K 한 돈에 대한 이야기를 살펴보니, 요즘처럼 “금값 진짜 많이 올랐네” 하고 놀랄만한 시기가 또 있을까 싶습니다. 조금 과장하면, 예전에 20만 원대였던 한 돈 금반지가 지금은 두세 배 가까이로 뛴 셈이니, 때론 “진짜 금반지를 샀어야 했는데” 하며 웃픈 후회를 하는 분도 많겠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은 장기적으로 보면 늘 긍정적 전망과 함께 안전자산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니, 시세를 잘 살펴보며 소신껏 접근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