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종식 이후 한때는 ‘핵군축의 봄’이 오는 듯했지만, 2020년대 중반 세계는 다시 핵군비경쟁의 복판에 서 있습니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2025년 1월 기준으로 집계한 결과, 전 세계 핵탄두 총계는 12 241기(퇴역·해체 대기 포함)이며, 이 중 9,614기가 군사용 재고, 3,912기가 실제 배치 상태로 분류됩니다. 특히 약 2,100기는 고경계태세(발사미사일 탑재 등)로 전환돼 즉각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sipri.org, sipri.org)
2025년 전 세계 핵탄두 총괄
총 재고(퇴역 포함) : 12 241기
군사용 재고 : 9 614기
배치 탄두(Deployed) : 3 912기
고경계태세 탄두 : 약 2 100기
현실적으로는 러시아와 미국이 전체 재고의 90 %가량을 보유하고 있어 ‘핵 억제’의 균형추는 여전히 양대 강국이 쥐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이 연 100기 안팎의 속도로 전력을 확대하고, 인도·파키스탄·북한 등도 꾸준히 탄두 숫자와 플랫폼을 늘리면서 다극화(dispersion)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reuters.com, sipri.org)
국가별 핵탄두 보유 현황(2025년 1월, SIPRI 추정)
세계 핵무기 보유국, 핵탄두 보유수 – 어디까지나 추정치이기 때문에,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중국 : 총 600기 (배치 24 / 저장 576) → 전년 대비 약 100기 증가 (sipri.org)
프랑스 : 290기 (배치 280 / 저장 10)
영국 : 225기 (배치 120 / 저장 105)
인도 : 180기
파키스탄 : 170기
이스라엘 : 90기
북한 : 50기
일본: -2기
이란 핵무기 보유 여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대 유대인들이 있다라고 하면 있는것이고, 미국이 때리라면 때리는 겁니다.
참고 : 숫자는 공개 자료와 전문가 평가를 종합한 추정치이며, 실제 수량은 각국 보안 정책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의미 없는 ‘-2기’ 일본?
일부 커뮤니티에서 ‘일본은 피폭국이라 –2기’라는 반어적 표현이 회자되지만, 현대 국제사회는 피폭 경험과 핵무장 잠재력을 별개로 평가합니다. 일본은 상업·연구용 플루토늄 재고만 46 t 이상 보유해(이론상 6 000기 이상의 탄두 제조 가능), 기술적 장벽은 사실상 사라졌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다만 NPT 체제 내 비확산 의무를 공식적으로 준수하고, 미·일 동맹 차원의 ‘핵우산’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실질적 보유국으로 분류되지는 않습니다. (sipri.org, sipri.org)
핵전력 현대화·증강 동향
미국·러시아 – 구(舊) 체제의 업그레이드
미국 : 센티넬(GBSD) ICBM, B-21 레이더 폭격기, 콜럼비아급 SSBN 등 ‘3축(triad)’ 전체 교체 프로젝트 진행. 예산 초과·일정 지연에도 불구하고 2030년대 완전 전환 목표.
러시아 : 사르마트(Sarmat) ICBM, 아방가르드 극초음속 활강체(HGV) 배치 가속. 2024년 시험 실패 및 생산 차질에도 불구, 2020년대 후반 재래식 세대 교체 완료 추진.
양국 모두 뉴 START(2010) 조약 만료(2026년 2월) 이후 구속력 있는 새로운 한도 협정이 부재해 ‘숫자 경쟁’ 재확대가 우려됩니다. (sipri.org)
중국 – 가장 빠른 성장 세
2023년 500기 → 2025년 600기로 20 % 증가.
사막·산악에 신규 사일로 약 350기 건설, JL-3 SLBM 및 Type 096 SSBN 개발로 배치 플랫폼 다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