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핵무기 보유국 핵탄두 보유 수? 이란 핵무기 보유?

세계 핵무기 보유국 핵탄두 보유 수? 이란 핵무기 보유?

냉전 종식 이후 한때는 ‘핵군축의 봄’이 오는 듯했지만, 2020년대 중반 세계는 다시 핵군비경쟁의 복판에 서 있습니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2025년 1월 기준으로 집계한 결과, 전 세계 핵탄두 총계는 12 241기(퇴역·해체 대기 포함)이며, 이 중 9,614기가 군사용 재고, 3,912기가 실제 배치 상태로 분류됩니다. 특히 약 2,100기는 고경계태세(발사미사일 탑재 등)로 전환돼 즉각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sipri.org, sipri.org)

2025년 전 세계 핵탄두 총괄

  • 총 재고(퇴역 포함) : 12 241기
  • 군사용 재고 : 9 614기
  • 배치 탄두(Deployed) : 3 912기
  • 고경계태세 탄두 : 약 2 100기

현실적으로는 러시아와 미국이 전체 재고의 90 %가량을 보유하고 있어 ‘핵 억제’의 균형추는 여전히 양대 강국이 쥐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이 연 100기 안팎의 속도로 전력을 확대하고, 인도·파키스탄·북한 등도 꾸준히 탄두 숫자와 플랫폼을 늘리면서 다극화(dispersion)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reuters.com, sipri.org)

국가별 핵탄두 보유 현황(2025년 1월, SIPRI 추정)

세계 핵무기 보유국 핵탄두 보유 수? 이란 핵무기 보유?
  • 러시아 : 총 5 459기
    • 배치 1 718 / 저장 2 591 / 퇴역 1 150 / 군사용 재고 4 309기 (sipri.org)
  • 미국 : 총 5 177기
    • 배치 1 770 / 저장 1 930 / 퇴역 1 477 / 군사용 재고 3 700기 (sipri.org)
  • 중국 : 총 600기 (배치 24 / 저장 576) → 전년 대비 약 100기 증가 (sipri.org)
  • 프랑스 : 290기 (배치 280 / 저장 10)
  • 영국 : 225기 (배치 120 / 저장 105)
  • 인도 : 180기
  • 파키스탄 : 170기
  • 이스라엘 : 90기
  • 북한 : 50기
  • 일본: -2기

이란 핵무기 보유 여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대 유대인들이 있다라고 하면 있는것이고, 미국이 때리라면 때리는 겁니다.

참고 : 숫자는 공개 자료와 전문가 평가를 종합한 추정치이며, 실제 수량은 각국 보안 정책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의미 없는 ‘-2기’ 일본?

일부 커뮤니티에서 ‘일본은 피폭국이라 –2기’라는 반어적 표현이 회자되지만, 현대 국제사회는 피폭 경험과 핵무장 잠재력을 별개로 평가합니다. 일본은 상업·연구용 플루토늄 재고만 46 t 이상 보유해(이론상 6 000기 이상의 탄두 제조 가능), 기술적 장벽은 사실상 사라졌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다만 NPT 체제 내 비확산 의무를 공식적으로 준수하고, 미·일 동맹 차원의 ‘핵우산’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실질적 보유국으로 분류되지는 않습니다. (sipri.org, sipri.org)

핵전력 현대화·증강 동향

미국·러시아 – 구(舊) 체제의 업그레이드

  • 미국 : 센티넬(GBSD) ICBM, B-21 레이더 폭격기, 콜럼비아급 SSBN 등 ‘3축(triad)’ 전체 교체 프로젝트 진행. 예산 초과·일정 지연에도 불구하고 2030년대 완전 전환 목표.
  • 러시아 : 사르마트(Sarmat) ICBM, 아방가르드 극초음속 활강체(HGV) 배치 가속. 2024년 시험 실패 및 생산 차질에도 불구, 2020년대 후반 재래식 세대 교체 완료 추진.

양국 모두 뉴 START(2010) 조약 만료(2026년 2월) 이후 구속력 있는 새로운 한도 협정이 부재해 ‘숫자 경쟁’ 재확대가 우려됩니다. (sipri.org)

중국 – 가장 빠른 성장 세

  • 2023년 500기 → 2025년 600기로 20 % 증가.
  • 사막·산악에 신규 사일로 약 350기 건설, JL-3 SLBM 및 Type 096 SSBN 개발로 배치 플랫폼 다변화.
  • 일부 탄두를 ‘고경계태세’로 전환한 첫 사례로 평가. (sipri.org, sipri.org)

프랑스·영국 – 최소 억제(Minimum Deterrence)의 재정비

  • 프랑스 : M51.3 SLBM, 차세대 SNLE-3G SSBN 건조 투자 유지.
  • 영국 : ‘워헤드 상한’ 260기로 상향(2021년 발표) 이후 실제 수량·배치 내역 비공개. F-35A+B61-12 조합 도입 검토가 재점화. (theguardian.com)

남아시아 – 인도·파키스탄의 ‘양면 억제’

  • 사거리 5 000 km 이상 ICBM·SLBM 개발 경쟁, MIRV 기술 확보 추진.
  • 중국까지 겨냥한 ‘삼각 억제’ 구도가 형성돼 역내 위험이 확산.

북한 – 완성 단계 가속

  • 약 50기 보유 추정이나 플루토늄·HEU 생산능력과 고체연료 ICBM, 극초음속 글라이더 시험 빈도 등을 감안하면 향후 수년 내 두 자릿수 이상 증강 가능성. (sipri.org)

비공식 핵무장 잠재력과 ‘핵공유’

  • 나토 핵공유 프로그램 : 독일·이탈리아·네덜란드·벨기에·터키가 미국 B61-12 전술핵폭탄을 전진 배치. 2025년 영국 RAF가 재참여 의사를 밝히며 ‘확장 억제’ 논란 재점화. (theguardian.com)
  • 대한민국·호주 등 : 핵 잠재력과 안보위협 간 괴리로 독자 핵무장론이 반복적으로 부상하지만, NPT·동맹 공약·국제 제재 비용이 여전히 진입장벽으로 작동.

국제 핵군축·비확산 체제의 현주소

  1. NPT : 191개국 가입에도 P5(미·러·중·영·프)의 군축 의무 이행 부진, 인도·파키스탄·이스라엘·북한은 비가입(또는 탈퇴) 상태.
  2. 뉴 START : 후속 합의 부재로 2026년 만료 시 전략탄두·운반체 한도 규제 ‘공백’ 우려.
  3. CTBT : 8개 핵관련 기술국 미비준으로 발효 불가.
  4. TPNW(핵무기금지조약) : 2021년 발효됐지만 핵보유국과 나토 동맹 다수 불참.
  5. NWFZ(비핵지대) : 중남미·아프리카·중앙아시아·남태평양은 성공적이나 중동·동북아는 교착.

신기술이 불러온 새로운 위험

  • AI 기반 표적식별·발사권고 : 판단 시간을 단축, 오인 발사 가능성 증대.
  • 극초음속 활강체·고속 순항미사일 : 탐지·대응 시간을 단축해 ‘발사 이전 선제타격’ 딜레마 심화.
  • 저궤도 위성통신·사이버 공격 : 경보·지휘통제 체계 교란 위험 증가.

실수나 해킹으로 인한 비의도적 핵충돌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핫라인·실시간 위성감시 정보 공유, 다자·지역 차원의 위기관리 프로토콜 정립이 시급합니다. (sipri.org)

결론 – ‘숫자’보다 ‘통제’가 핵심

  • 배치 탄두와 군사용 재고는 서서히 늘고 있지만, 이를 관리·억제할 법적·제도적 장치는 후퇴하고 있습니다.
  • 미·러·중 간 전략대화 정지, 뉴 START 만료 임박, 지역 분쟁(우크라이나·대만·카슈미르·한반도) 고조가 핵 사용 임계점을 낮추고 있습니다.
  • ‘핵 없는 세상’이 당장은 요원하더라도, 투명성 강화·위기관리 절차·핫라인 확대 같은 실용적 위험감축 조치를 서둘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21세기 핵 위기는 정치적 미끄럼틀을 타고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될 것입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