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역사

고려 왕 계보·가계도·본명·묘호 한눈에 보기

고려 왕 계보·가계도·본명·묘호 한눈에 보기

918년 태조 왕건이 송악에서 새 나라를 열고 1392년 공양왕이 왕위를 내려놓기까지 474년, 고려는 무려 34명의 군주가 교체된 왕조였습니다. 왕권이 강화되고 약화되기를 반복하는 동안 호족, 문벌귀족, 무신, 권문세족, 신흥 무장 세력이 차례로 정국의 주인공이 됐습니다. 이 글에서는 왕들의 본명(휘)·묘호·재위 기간·주요 업적을 시대 흐름에 맞춰 정리하고, 글로 풀어 쓴 가계도를 함께 제시합니다.

고려 왕 계보
고려왕조 계보도

1. 개국과 중앙집권 확립기

  • 태조 왕건 918-943
    후삼국 통일, 혼인외교, 북진정책으로 영토 확대
  • 혜종 943-945
    왕건의 장남, 왕권 다툼 속 단명
  • 정종 945-949
    서경 천도 추진 실패, 왕권 약화
  • 광종 949-975
    노비안검법·과거제 실시, 강력한 왕권 확립
  • 경종 975-981
    전시과 제정으로 관리·군사 녹봉 제도화
  • 성종 981-997
    시무28조 수용, 2성 6부·12목·국자감 정비, 유교 정치 이념 공식화

글로 보는 가계도
태조 왕건
├─ 혜종
├─ 정종
├─ 광종 ── 경종 ── 목종
└─ 성종 ── 현종 → 이후 중기 왕실


2. 문화 황금기와 문벌귀족 시대

  • 목종 997-1009
    전시과 개정, 국학 진흥
  • 현종 1009-1031
    거란 3차 침입 격퇴, 귀주대첩, 초조대장경 간행
  • 덕종 1031-1034
    국사 편찬 완성
  • 정종 1034-1046
    천리장성 축조, 노비종모법·장자상속법 마련
  • 문종 1046-1083
    고려 문화 전성기, 시문·불교·공예 융성
  • 순종 1083
    재위 3개월
  • 선종 1083-1094
    송나라 제도 수용, 왕권 침체 시작
  • 헌종 1094-1095
    즉위 1년 만에 숙종에게 선양
  • 숙종 1095-1105
    은병 주조, 북진무역로 개척
  • 예종 1105-1122
    양현고 설치, 경사6학 정비, 학문 진흥
  • 인종 1122-1146
    삼국사기 편찬, 이자겸의 난·묘청의 서경천도운동

3. 무신집권과 몽골 침입

  • 의종 1146-1170
    향락정치, 무신정변으로 폐위
  • 명종 1170-1197
    최충헌 집권, 교정도감·정호승려 등용
  • 신종 1197-1204
    만적의 난 등 민란, 최씨 정권 공고화
  • 희종 1204-1211
    최충헌 암살 미수, 폐위
  • 강종 1211-1213
    괴뢰 왕, 단명
  • 고종 1213-1259
    몽골 6차 침입, 강화도 천도, 팔만대장경 새로 조판
  • 원종 1259-1274
    몽골과 화의, 개경 환도, 삼별초 항쟁

4. 원 간섭기와 개혁 시도

  • 충렬왕 1274-1308
    원 세조의 사위, 정동행성 설치
  • 충선왕 1298, 1308-1313
    사림원·소금전매 등 개혁 시도 좌절
  • 충숙왕 1313-1330, 1332-1339
    심양왕과 권력 다툼
  • 충혜왕 1330-1332, 1339-1344
    방탕정치, 두 차례 폐위·복위
  • 충목왕 1344-1348
    8세 즉위, 덕녕공주 섭정
  • 충정왕 1349-1351
    12세 즉위, 원·조선 교체기의 압력
  • 공민왕 1351-1374
    반원정책, 전민변정도감, 쌍성총관부 수복, 신흥무장 성장

5. 왕조의 몰락

  • 우왕 1374-1388
    최영·이성계 갈등, 위화도회군으로 폐위
  • 창왕 1388-1389
    9세 왕, 이성계에 의해 폐위
  • 공양왕 1389-1392
    이성계 집권, 조선 창업 세력에게 양위

결론

고려 34명의 군주 계보는 ‘혈통’만큼이나 ‘정치 세력’의 힘이 왕위를 결정했음을 보여 줍니다. 초·중기엔 왕씨 직계와 문벌귀족이, 이후엔 무신·몽골·권문세족, 마지막에는 신흥 무장이 왕권을 좌우했습니다. 광종의 중앙집권, 성종의 유교정치, 공민왕의 개혁, 이성계의 위화도회군은 한국사에서 국가 운영과 권력 교체의 전형적 사례로 손꼽힙니다. 고려 계보를 꿰뚫어 보면 ‘왕권 강화 → 귀족 분화 → 외세 간섭 → 신흥 세력 교체’라는 동아시아 중세국가의 순환 구조가 적나라하게 드러납니다.


키워드

고려 왕 계보, 고려왕조 가계도, 고려 왕 본명, 고려 묘호, 광종 노비안검법, 몽골 침입 강화도, 공민왕 개혁, 위화도회군, 고려 멸망, 고려 문화 황금기

bcafe75

Recent Posts

싸리버섯 손질법·효능

싸리버섯 손질법·효능 싸리버섯은 산호처럼 갈래진 모양 때문에 ‘산호버섯’으로도 불리며, 한국 산림에서 여름 끝자락부터 가을까지 자주 만나는…

10분 ago

오늘 금값 18K 금시세 1돈 가격

오늘 금값 18K 금시세 1돈 가격 귀금속 시장에서 “오늘 금값”이란 단어는 단순히 재료로서의 금이 지닌…

15시간 ago

공안직 공무원 봉급표 2025 철도경찰직 출입국관리직 마약수사직 검찰 교정직 공무원 월급

공안직 공무원 봉급표 2025 철도경찰직 출입국관리직 마약수사직 검찰 교정직 공무원 월급 공안직 공무원의 의미와 역할 공안직…

4일 ago

레몬즙 효능 부작용

레몬즙 효능 부작용 레몬은 신선한 향과 상큼한 맛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과일입니다. 특히 레몬즙은 요리,…

1주 ago

박결 골프선수 프로필

박결 골프선수 프로필 전라남도 순천에서 태어난 한 소녀가 초등학교 2학년 무렵 처음 골프채를 잡았습니다. 그…

1주 ago

계란 삶는 법, 시간, 까기

계란 삶는 법: 반숙 계란 삶는 시간 완벽 가이드 쉬운 듯 보이지만 의외로 까다로운 요리…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