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역사

고려 왕 계보·가계도·본명·묘호 한눈에 보기

고려 왕 계보·가계도·본명·묘호 한눈에 보기

918년 태조 왕건이 송악에서 새 나라를 열고 1392년 공양왕이 왕위를 내려놓기까지 474년, 고려는 무려 34명의 군주가 교체된 왕조였습니다. 왕권이 강화되고 약화되기를 반복하는 동안 호족, 문벌귀족, 무신, 권문세족, 신흥 무장 세력이 차례로 정국의 주인공이 됐습니다. 이 글에서는 왕들의 본명(휘)·묘호·재위 기간·주요 업적을 시대 흐름에 맞춰 정리하고, 글로 풀어 쓴 가계도를 함께 제시합니다.

고려 왕 계보
고려왕조 계보도

1. 개국과 중앙집권 확립기

  • 태조 왕건 918-943
    후삼국 통일, 혼인외교, 북진정책으로 영토 확대
  • 혜종 943-945
    왕건의 장남, 왕권 다툼 속 단명
  • 정종 945-949
    서경 천도 추진 실패, 왕권 약화
  • 광종 949-975
    노비안검법·과거제 실시, 강력한 왕권 확립
  • 경종 975-981
    전시과 제정으로 관리·군사 녹봉 제도화
  • 성종 981-997
    시무28조 수용, 2성 6부·12목·국자감 정비, 유교 정치 이념 공식화

글로 보는 가계도
태조 왕건
├─ 혜종
├─ 정종
├─ 광종 ── 경종 ── 목종
└─ 성종 ── 현종 → 이후 중기 왕실


2. 문화 황금기와 문벌귀족 시대

  • 목종 997-1009
    전시과 개정, 국학 진흥
  • 현종 1009-1031
    거란 3차 침입 격퇴, 귀주대첩, 초조대장경 간행
  • 덕종 1031-1034
    국사 편찬 완성
  • 정종 1034-1046
    천리장성 축조, 노비종모법·장자상속법 마련
  • 문종 1046-1083
    고려 문화 전성기, 시문·불교·공예 융성
  • 순종 1083
    재위 3개월
  • 선종 1083-1094
    송나라 제도 수용, 왕권 침체 시작
  • 헌종 1094-1095
    즉위 1년 만에 숙종에게 선양
  • 숙종 1095-1105
    은병 주조, 북진무역로 개척
  • 예종 1105-1122
    양현고 설치, 경사6학 정비, 학문 진흥
  • 인종 1122-1146
    삼국사기 편찬, 이자겸의 난·묘청의 서경천도운동

3. 무신집권과 몽골 침입

  • 의종 1146-1170
    향락정치, 무신정변으로 폐위
  • 명종 1170-1197
    최충헌 집권, 교정도감·정호승려 등용
  • 신종 1197-1204
    만적의 난 등 민란, 최씨 정권 공고화
  • 희종 1204-1211
    최충헌 암살 미수, 폐위
  • 강종 1211-1213
    괴뢰 왕, 단명
  • 고종 1213-1259
    몽골 6차 침입, 강화도 천도, 팔만대장경 새로 조판
  • 원종 1259-1274
    몽골과 화의, 개경 환도, 삼별초 항쟁

4. 원 간섭기와 개혁 시도

  • 충렬왕 1274-1308
    원 세조의 사위, 정동행성 설치
  • 충선왕 1298, 1308-1313
    사림원·소금전매 등 개혁 시도 좌절
  • 충숙왕 1313-1330, 1332-1339
    심양왕과 권력 다툼
  • 충혜왕 1330-1332, 1339-1344
    방탕정치, 두 차례 폐위·복위
  • 충목왕 1344-1348
    8세 즉위, 덕녕공주 섭정
  • 충정왕 1349-1351
    12세 즉위, 원·조선 교체기의 압력
  • 공민왕 1351-1374
    반원정책, 전민변정도감, 쌍성총관부 수복, 신흥무장 성장

5. 왕조의 몰락

  • 우왕 1374-1388
    최영·이성계 갈등, 위화도회군으로 폐위
  • 창왕 1388-1389
    9세 왕, 이성계에 의해 폐위
  • 공양왕 1389-1392
    이성계 집권, 조선 창업 세력에게 양위

결론

고려 34명의 군주 계보는 ‘혈통’만큼이나 ‘정치 세력’의 힘이 왕위를 결정했음을 보여 줍니다. 초·중기엔 왕씨 직계와 문벌귀족이, 이후엔 무신·몽골·권문세족, 마지막에는 신흥 무장이 왕권을 좌우했습니다. 광종의 중앙집권, 성종의 유교정치, 공민왕의 개혁, 이성계의 위화도회군은 한국사에서 국가 운영과 권력 교체의 전형적 사례로 손꼽힙니다. 고려 계보를 꿰뚫어 보면 ‘왕권 강화 → 귀족 분화 → 외세 간섭 → 신흥 세력 교체’라는 동아시아 중세국가의 순환 구조가 적나라하게 드러납니다.


키워드

고려 왕 계보, 고려왕조 가계도, 고려 왕 본명, 고려 묘호, 광종 노비안검법, 몽골 침입 강화도, 공민왕 개혁, 위화도회군, 고려 멸망, 고려 문화 황금기

bcafe75

Recent Posts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 차이, 밀가루 종류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 차이, 밀가루 종류 완벽 가이드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 강력분 - 단백질이…

1일 ago

시간선택제 공무원·임기제공무원 급여 구조와 학교 ‘당직전담직원’ 월급 가이드

시간선택제 공무원·임기제공무원 급여 구조와 학교 ‘당직전담직원’ 월급 가이드 이 글은 시간선택제 공무원과 임기제공무원의 보수 체계,…

3일 ago

고춧가루 1근 가격, 시세, 1근은 몇g

고춧가루 1근 가격, 시세, 1근은 몇g 한국의 장류·김치 문화에서 고춧가루는 kg보다 ‘근(600 g)’ 단위로 거래되는…

4일 ago

8월의 시 모음, 이해인 외

8월의 시 모음, 이해인 외 무더운 열대야와 소낙비가 번갈아 몰려오는 8월은 계절의 중심에서 여름과 가을이…

4일 ago

경동맥 초음파 검사로 알 수 있는 병, 비용

경동맥 초음파 검사로 알 수 있는 병, 비용 사람의 목 좌우에는 뇌로 올라가는 가장 중요한 혈관,…

6일 ago

농협 공판장 인터넷 통합거래시스템(newgp.nonghyup.com) 소개

농협 공판장 인터넷 통합거래시스템(newgp.nonghyup.com) 소개 aexocet2020 농산물 유통 구조가 디지털로 재편되면서 생산자(출하자)와 중도매인·도매법인(구매자) 모두 온라인 경매·정산…

1주 ago